30년 좀 넘게 살아온 내가 본 한국은 사회 전체가 사람이 편한 꼴, 쉬는 꼴을 못보는 정신병에 걸린 나라다.
고등학생 때는, 아무 이유없이 아침 일찍 불러서 0교시라고 자습을 시키질 않나... 웃긴 건, 일찍 불러서 등교하더라도 자는 놈들이 태반인데, 사실 생각해보면 이건 당연한거다. 무슨 노가다판도아니고 학생들을 5시, 6시에 기상시켜서 등교를 시킨단말인가? 심지어 선생도 출근 안한시간에 불켜고와서 앉아있는거다.
어짜피 공부라는 건 할 놈은 하지말라고 때려 죽여도 알아서 하고, 안 할 놈은 하라고 때려 죽여도 안한다. 다르게 보자면, 할 놈은 알아서 자기 시간을 최적화 시켜서 목표달성을 위해 효율적으로 쓸 것이고, 안 할 놈은 그냥 잠이라도 넉넉하게 자게 두어 면학분위기 조성을 위해 최소한 정규수업시간동안이라도 깨어있는 것이 낫다는 것이다. 요즘에도 하는지 모르겠지만, 0교시랍시고 잠도 못자게 쓸데없이 일괄적으로 깨워다가 뭔 짓거리인지 아직도 이해가 안간다.
'가만히 둬도 안하는 놈들은 그렇게라도 강제적으로 시켜야한다'는게 반박이라면 그렇게 책상 앞에 앉혀놓는다고 그 친구들이 그 시간에 공부를 하냐? 라고 되묻고싶다.
다녀온 사람은 알겠지만, 군대는 뭐 말할 것도 없다. '할게 없으면 청소라도 해라' 이게 무슨 말같지 않은 소리인진 모르겠지만, 진짜로 우천으로 출동못하고 할 거없으면 하면서도 '이걸 왜하지?' 라는 생각이 드는 쓸데없는 작업시키고 주변 청소시키는거보면 세상 이런 비효율적인 집단이 따로없다.
어떤 간부는 '몸이 편하면 쓸데없는 생각이 많아지고 그게 사고로 이어진다'는데, 나는 이런 말같지도 않은 말을 들으며, 그 지시를 실제로 수행하면서 몸이 피곤해지고 '살 수가 없다'라는 생각을 더 하면 더 했지 덜하진 않았을 것이다.
요즘 일터에서는 점심 회식, 음주없는 회식, 1차만 간단하게 하는 회식 등 개인주의의 발달로 회식 문화가 조금씩 쫓아가고있지만 아직도 옛날 문화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웃긴건 다음날 아침에 출근해야되는데 자정, 더 넘어가면 새벽까지 회식을 한다. 상식적으로 일을 업으로 삼는 직장인이라면 다음날 출근할 것을 고려하고 다음날 업무에 최대한 지장 안가도록 일정을 짜는 것이 상식이고 정상인 상황 아닌가? 그런데 다음 날 출근해야하는 책임은 모두 개인에게 전가하고, 회식은 회식대로 뒤질 때까지 끝까지 가는 것이다. 차라리 그렇게 할거라면 다음 날 휴무를 주는 것이 상식적인 처사 아닌가? 무엇이 주이고 무엇이 부인지, 주객전도가 된 상황이다. 그리고 상식적인 말을 하면 다수가 상식인 것처럼 말을 하며, 비상식적인 사람으로 만든다.
결론적으로 내가 봐온 한국이라는 나라는 사회시스템이건, 한국에서 사회화가 되고 한국의 문화를 그대로 갖고있는 한국인이건, 개인이 육체적으로 피곤한 상태, 개인을 육체적으로 피곤하게 만드는 상황을 당연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마치 '한국인은 피곤한 상태에 익숙해야 한다'라는 유전자를 심어주고자 민족적으로 노력하고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도 상식적인 이유나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아니라 쓸데 없는 이유, 비효율적인 이유, 아무이유 없이 그렇게 만든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나라의 사회 시스템과 정신문화에는 비효율과 비상식이 뿌리깊게 녹아들어 있으며, 이는 근면, 성실과 같은 긍정적인 가치가 아니라는 말을 하고싶다. 더 웃긴 것은 이제 구분이 안되는 건지, 그렇게 교육을 받아왔기때문에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비효율과 비상식을 근면과 성실인 것처럼 말하며 그렇게 해 온 자신을 자랑한다는 것이다.
'All things to lessen pain >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이지 토네가와 일침과 노력에 관한 생각 (1) | 2023.01.25 |
---|---|
돈과 행복 (0) | 2023.01.23 |